전체 글(222)
-
[리눅스] 구글 클라우드 (G-Drive) GNOME 에서 사용하기
작성일 :2022. 6. 4. 12:16 며칠 전에 해결못한 업무로 아침에 급히 일어나서 코딩을 하다가 갑자기 척추가 뻐근해지는 것을 느끼면서 담이 찾아오나...? 누워서 볼까... 하다가 무심코 구글 드라이브에 넘기고 폰으로 보고 싶은데 리눅스엔 방법이 없나 궁금해졌다. 예전에 구글 드라이브와 연결해주는 모 쉐어웨어를 써봤지만 기간만료에 불편한 점이 여간 아니었기에 구글 드라이브 연동방법을 찾아보다가 무심코 아! 맞아... 저번에 썼지.. 하고 기억을 되찾아서! 이 기능이 그놈 38 버전부터 지원되었다고 한다. 이 글을 쓰는 시점으로 현재 최신 버전은 42이다. 그놈도 영감이 다 되었군. (gnome 이란 영단어가 할배요정이다. papa smurf 를 닮은 이미지. GNOME 데스크탑 말고 ㅎㅎ) 어쨌..
2023.04.06 -
[리눅스] GRUB - OS Prober (윈도 부트로더가 사라졌다!?)
작성일 : 2022. 4. 26. 10:19 방 구석에 쳐박아 둔 오래된 리눅스/윈도 듀얼부팅 노트북을 간만에 꺼내서 패키지를 업데이트하고 나서 재부팅했는데 GRUB 에서 'Windows Bootloader' 가 사라졌다. 잊고 있었다. 배포판에 포함되는 패키지도, 아니 패키지에 들어가는 알짜 프로그램도 꾸준히 변화되고 관리된다는 것을! (리눅스 데스크탑이 윈도보다 안정적이라는 생각에 파티션 안에 창고처럼 처박아 두는데. 이렇게 부트로더가 말썽을 피우면 고민에 빠진다. 그렇다고 윈도를 전혀 안쓰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BIOS 에 들어가서 Fast Boot 기능을 켜고 부팅, 끄고 부팅.. 다 시도 해봤다. (원래 UEFI 를 지원하는 노트북인데, 실수로? /dev/nvram 을 삭제하면서 BIOS 시..
2023.04.06 -
[리눅스] dpkg --ignore-depends=
작성일 : 2020. 6. 28. 23:47 dpkg --ignore-depends=libvpx5 -i virtualbox-X.Y.Z.deb
2023.04.06 -
[리눅스] XML 노드 편집
작성일 : 2019. 1. 30. 15:52 xmlstarlet 유틸리티를 활용해서 XML 파일에 특정 노드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xmlstarlet ed --subnode "root/customer" --type elem -n name -v "Testing Guy" WeightLossResponse_Low.xml > WeightLossResponse_Low.xml.out (※ 유의할 점 : 리다이렉션 연산자를 써서 내보내는 파일명은 원본 파일과 다르게 해야 함! 그렇게 하지 않으면 원본 파일의 내용이 날아간다. "0 바이트로") 원본 파일 내용 : .. A00000000 .. 실행 결과 : .. A00000000 Testing Guy .. 참고 문서 : https://www.technomanc..
2023.04.06 -
[리눅스] SSH 접속 시 Locale 설정실패 메시지를 안뜨게 하는 방법
작성일 : 2017. 8. 1. 22:40 SSH 를 이용해서 원격지 서버로 접속할 때 다음과 유사하게 로케일 설정실패 메시지가 뜰 때가 있다. "-bash: warning: setlocale: LC_ALL: cannot change locale (ko_KR.UTF-8)" 이런 메시지가 뜨는 원인은 ssh 클라이언트의 기본설정이 로컬 작업환경의 로케일을 그대로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로컬 작업환경의 로케일 ↓] 해결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원격지 서버에서 해당 로케일을 지원하도록 로케일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로컬 작업환경의 ssh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다. 첫 번째는 서버를 고치는 방법이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어차피 서비스 운영 용도로 쓰는 원격지 머신은 C 또는 ..
2023.04.06 -
[리눅스] JWM 테마 고치기
작성일 : 2017. 4. 28. 17:37 업무에 맞추고자 우분투를 설치했지만, Unity 가 너무 무거워서 가벼운 창관리자를 찾아 전전하다가 결국에는 예전에 유용하게 봤던 JWM 을 설치했다. 그런데 JWM 에서 제공하는 좁은 회색바탕의 기본 테마가 너무 마음에 안들어서 나름 만족하는 범위 안에서 고쳤다. 타이틀바를 32 사이즈로 두껍게 고치고 파랑계통으로 그레디언트를 넣었다. 그레디언트는 JWM 에서 지원하는 방식인 것 같다. 우분투 14.04 에서는 jwm 전역메뉴 파일이 /etc/jwm/system.jwmrc 로 존재한다. menu-xdg 패키지를 설치했지만 그놈3에 익숙해진 이후로, 프로그램을 메뉴를 따라가서 실행하는 것보다 직접 입력하는게 편해서 grun 을 설치하였다. 메뉴에는 아래의 한 ..
20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