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6)
-
(리액트) Uncaught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 (at ...)
index.html 소스 : 이것을 브라우저에서 열면 Uncaught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
2023.04.06 -
Galaxy Tab 6 Lite (교원구몬;올앤지F*ck) - 업데이트하기
작성일 : 2023. 3. 21. 09:10 교원구몬 스마트태블릿, 그러니까 갤탭6 라이트에 올앤지 소프트웨어가 깔린 것. 처음 구매했을 때는 없었는데, 눌하의 업무를 위해 올앤지를 설치했다. 내 돈주고 산 태블릿인데 내 마음대로 태블릿을 업데이트할 수 없었다. 설정에 들어가면 원초적으로 막혀 있다. 업데이트 버튼 자체가 없다. 혹자는 원구매자가 구몬고객센터에 얘기해서 계약을 해지하고 삼성서비스센터에 가서 푸는 방법 밖에 없다고 한다. 근데 구매를 한 사람은 나지만, 사용한 당사자는 눌하인데 컴맹이다. 구몬 웹서비스 자체를 싫어한다. 말이 안통한다. ㅡㅡ.. 그러다가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삼성 스마트스위치 앱을 윈도pc 에 설치한 후에 갤탭과 연결하면 앱 화면 하단에 갤탭 업데이트 버튼이 생기는..
2023.04.06 -
[리눅스] USB 에 ISO 이미지 굽기 (balenaEtcher)
작성일 : 2023. 2. 27. 09:06 준비) etcher 프로그램 다운로드하기 https://www.balena.io/etcher x64 아키텍처 / 리눅스 버전을 다운로드한다. AppImage 포맷이다. AppImage 는 파일 하나에 모든 게 담겨 있으므로 실행권한을 부여한 후 실행하면 됨. (SnapCraft 보다 훨씬 간편하다) 실행) 실행하면 libva 오류가 뜨지만 이미지를 구울 때 문제 되지 않음 Flash from file 을 클릭한다 구울 ISO 이미지를 선택한다. 굽는 중 굽기 종료 프로그램 사용소감) 윈도OS 전용으로 Rufus 가 있다면 리눅스에는 이 프로그램이 있다. balenaEtcher 는 윈도 / 맥 / 리눅스를 모두 지원한다. Rufus 이전에는 USB 에 이미지를 ..
2023.04.06 -
[리눅스] 로그인 계정 - 콘솔 영/한 로케일 설정
작성일 :2023. 2. 24. 00:10 일반적으로 리눅스를 설치하면 설치 프로그램에서 선택한 로케일이 시스템 전체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한국어 로케일을 선택하면 데스크탑 사용자를 염두에 둔 탓인지 데스크탑(엑스 윈도 시스템) 밖의 로그인 콘솔에서도 한국어 로케일이 적용된다. 하지만, 데스크탑 밖의 콘솔에서조차 한글환경을 쓰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굳이 리눅스 설치 프로그램처럼 프레임버퍼 터미널 + cjk 패치를 적용해서 뻑뻑하고 둔해 보이는 콘솔을 쓰고 싶진 않을 것 같다. 마니아층 빼고~ 대부분의 작업을 sudo 권한이 있는 유저로 실행할 때에는 $HOME/.bashrc 나 $HOME/.profile 에서 환경변수 TERM 의 'xterm' 포함여부에 따라 로케일변수를 설정하는 줄을 넣음으로써 간..
2023.04.06 -
[리눅스] TONE-UTF7Q (톤프리 스포츠형) 블루투스 안잡힐 때
작성일 :2023. 2. 8. 09:49 블루투스 목록에는 나타나는데 막상 클릭하면 연결될 듯 싶다가 연결끊김 또는 설정하지 않음으로 떠서 약이 오를 때가 있다. 그놈 패키지를 설치하다 보면 UX 와 관련된 것들은 그대로 가져갈 것이다. 하지만 데비안의 특성 상 패키지 업그레이드 중에 버전이 안맞아서 일부 패키지가 삭제되거나(나도 모르는 사이에), 혹은 배포판을 신규로 갈아 엎으면서 깜박하고 bluez-tools 설치를 누락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하는 유틸리티가 bluez-tools 에 들어 있다. 가성비가 좋은 블루투스 이어폰인 i17proMax(이름이 어렵다) 의 경우에는 이 패키지 없이도 연결되었다. (거참! 신통하군~) 톤 프리는 예외다. 반드시 bluez-tools 가..
2023.04.06 -
[리눅스] CentOS - 네트워크 켜기
작성일 : 2023. 1. 21. 02:16 데비안을 편리하게 쓰다가 센트오에스를 쓸 일이 생겨서 처음으로 설치해보았다. 물리적인 하드디스크에 직접 설치하기가 꺼려지기에 VirtualBox 안에 설치했다. Debian 에 비해 많이 낯설고 구식스러운 UX 에... 아무튼 최소로 설치했다. 그 보다 우선 그놈데스크탑으로도 설치해봤지만 무슨 일인지 분명히 호스트 OS 에서 네트웍을 NAT 로 설정했는데도 외부로 ping 을 날라면 unknown host name 같은 메시지를 보여주고... 도대체 뭐가 문제였나? 심지어 lspci, lsusb 가 들어 있는 패키지도 설치안되어 있고.. 답답했다. 호스트가 노트북이라 와이파이 쓰는데, 분명 NAT 였는데... 와이파이 인터페이스 써야 하나???? IPTV 셋탑..
20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