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팁(7)
-
[MariaDB] zip 파일 방식으로 설치 / 실행하기
설치준비물 : mariadb-11.4.2-winx64.zip 적당한 위치에 압축을 푼다. 실행명령파일이 들어 있는 bin 경로로 이동해서 다음을 실행시킨다. port 정보는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포트인 3306 으로 설정된다.mariadbd-install-db.exe --datadir=..\data --password=1234 실행mariadbd --help 만으로는 원하는 도움말을 얻을 수 없어서 '--verbose --help' 를 달아서 실행했더니 결과가 창을 넘겨서 다 볼 수가 없다.mariadbd.exe --verbose --help mariadbd.exe 명령 뒤에 '--datadir=(앞서 만든 data 디렉토리 경로) --console' 을 붙여서 실행한다.mariadbd.exe -..
2024.07.27 -
PPT 사용할 수 없는 글꼴 바꿔치기
1. PPT 를 XML 포맷으로 저장한다.2. 텍스트편집기로 해당 XML 을 열어서 문제의 글꼴을 찾아서 바꿔치기할 글꼴명으로 변경한다.3. 오피스 XML Handler (또는 PowerPoint) 로 변경된 XML 을 연 후 다시 PPT 포맷으로 변환한다.
2024.07.17 -
PPT 슬라이드쇼 실행 시 한 쪽 모니터에만 띄우기
원활한 작업을 위해 듀얼모니터를 쓰다가 PPT 슬라이드쇼를 실행했을 때의 갑갑함이란...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피스계통의 툴을 잘 만들지만 가끔 이런 사소한 곳에서 빡침을 불러 일으키곤 한다. 작업자는 한 쪽에서 슬라이드를 보면서 다른 한 쪽에서는 개발툴을 띄워 놓은 채 코딩하고 싶은데 무슨 놈의 오피스가 내 두 번째 화면까지 좀 먹느냐 싶은 게, 그렇다고 안쓸 수도 없고 해서, 하는 수 없이 스라이드쇼 닫고 왼쪽 미리보기창은 접고 Ctrl Scroll up/down 으로 슬라이드를 확대/축소해서 보다가 다시 다음 페이지로 넘기면서 작업을 하고 있을 것이다. (고요 속의 빡침... 내 맘 속의 고요함을 깨뜨리고 널 고치고 난 떠나네...) 이 짜증을 해결해줄 방법을 유튜브의 어느 선구자가 이미 알고 있었다...
2024.01.09 -
PPT 파일 1개를 여러 창으로 분할해서 보기
일감이 들어와서 분석해야 하는데 PPT 로 정의된 페이지를 슬라이드별로 왔다갔다 하면서 둘러 보려니 정신없다. 내 아무리 화면이 큰 17인치짜리 노트북을 쓰고 있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모니터 두 개를 쓸 수 없는 환경에서 문서를 보려니 ("나 그냥 일 안하면 안될까?") 숨이 막힌다. 의외로 간단한 방법이 있었다. 이건 이클립스, IntelliJ IDEA 제품에서도 써오던 방식이다. 새 창으로 분리해서 보면 된다.
2024.01.08 -
[윈도10] 시작프로그램 등록하기
작성일 : 2019. 9. 7. 윈도우즈 10 은 뭔가 어정쩡한 UX 를 가지고 있다. 윈도95 때부터 XP ~ 버전7까지(?) 이어서 내려오던 시작 프로그램 등록방식이 사라지고 필요할 때마다 구글링을 해서 등록하는 방법을 찾아보게 되는데 은근히 성가시다. 윈도우즈 10 에서 탐색기로 직접 경로를 찾아가지 않고 시작프로그램 폴더를 여는 방법이 있다. 키 조합으로, 흔히 CMD.EXE 를 호출할 때 쓰는, '(명령) 실행창'을 열어서 'shell:startUp'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보자. 그럼 시작 프로그램 폴더가 열린다. 여기에 시작할 프로그램의 바로 가기를 복사하면 된다. 바로 가기(또는 옛이름, '단축 아이콘') 를 얻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윈도 10 에서 시작메뉴로 프로그램을 찾은 다음..
2023.05.06 -
[윈도우즈8 시스템 복구 이미지] 만들기
작성일 : 2015. 7. 30. 최근에는 2년전에 OEM 노트북을 구매했던 것에 대해 후회했다. 괜히 UEFI (BIOS 를 대체하는 펌웨어 방식)를 지원하는 노트북을 사서, 윈도우즈 OS 파티션 날려 먹은 후 OS 설치를 하려고 동분서주했거든. [ UEFI 에 대해서는 웹에서 검색하기 바란다. 물론 본 블로그에서도 리눅스 부팅과 관련하여 몇 번 언급하고 있다. ] 상온 30도를 가리키는 땡볕 속에서, 무겁디 무거운 17인치 노트북에 겨우 OS 1개 설치하려고 근무시간을 2시간이나 날려가며 강남에서 용산까지 이틀간 왕복해야 했다. 물론 그렇게까지 하기 전에 웹에서 UEFI 지원이 되는 윈도우즈7 이미지 구하기도 시도했고, 마이크로소프트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윈도우즈 8 & 8.1 이미지를 받아 ..
2023.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