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ian(32)
-
자바 그놈 컴파일, 런타임 설정 - Geany Editor (지니) 편
작성일 : 2009. 12. 19. 1. 외부도구 설정 메뉴 (아래 또는 그 아래 그림의 메뉴를 선택한다) 2. 컴파일러 및 런타임 인수 설정. 이상하게도 지니에서는 런타임 인수에 -classpath 단을 넣으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어렵네..)
2023.05.06 -
자바 그놈 컴파일, 런타임 설정 - GEdit 편
이 게시물을 옮기는 시점은 2023. 5. 6. GEdit (실행파일 : /usr/bin/gedit ) 에서 gnome text editor (실행파일 : /usr/bin/gnome-text-editor) 으로 변경되었음. 작성일 : 2009. 12. 19. 1. 외부도구 설정 메뉴 2. 런타임 설정. java -classpath "${CLASSPATH}" "${CLASS}" 가 핵심. 3. 컴파일러 설정 javac -classpath "${CLASSPATH}" "${SOURCE}" 가 핵심. GEdit 에서는 (물결(tilde) 키의) ` 대신 큰 따옴표를 써야 환경변수를 제대로 읽어들임. 어쩌면 ``로 감쌀 경우 그림의 EHOME 처럼 sed 로 제어문자를 걸러주어야 할 듯 싶다.
2023.05.06 -
자바 그놈 컴파일 및 실행 환경 구축
작성일 : 2009. 12. 12. 아래의 패키지들을 설치한다. (그놈 연동 자바 패키지). libjava-gnome-java (자바 연동 그놈 라이브러리), libjava-gnome-java-doc (그놈 자바 API, 예제 수록) libjava-gnome-jni (jni 관련 라이브러리) (JRE, JDK) sun-java6-jdk 외 썬 자바 패키지 -- 참고 자료 : /usr/share/doc/libjava-gnome-java/examples/* (예제 모음) /usr/share/doc/java-common/* -- 소스 컴파일 방법 #1.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직접 지정하는 방법 * jar 라이브러리인 경우 '-classpath' 의 인자로 파일명까지 모두 입력해야 컴파일러가 인식한다. 예) ja..
2023.05.06 -
[윈도우즈/리눅스] WSL 에서 native docker 실행하기
작성일 : 2018. 10. 23. $ docker images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CMD.exe]-------------------------------- echo %DOCKER_HOST% > tcp://(IP주소):(포트) --------------------------[WSL]----------------------------------- $ export DOCKER_HOST=tcp://(IP주소):(포트) $ export DOCKER_CERT_PATH=/mnt/c/Users/(계정이름)/.dock..
2023.05.06 -
[리눅스/윈도] Debian 설치하기
작성일 : 2018. 5. 17. M$ 윈도에 WSL (윈도우 서브시스템 리눅스) 를 활성화하려면 Windows 10 Pro? 이상부터 가능하다고 알고 있었다. 설정 -> 개발자 모드 켜기 ... (내 OS는 HOME 인데, 시도도 못하는구나...!) ㅋㅋㅋ 그런데, 아니었다. 초기에는 Ubuntu BASH on Windows (즉, 우분투의 캐노니컬과 마소가 제휴를 해서 우분투에서 돌아가는 BASH 를 윈도에서 쓸 수 있게) 만 가능했지만, 이제는 Microsoft Store 에서 이렇게 WSL 화된 배포판을 골라서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0. [준비]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다음 명령으로 WSL 을 활성화한다. [WSL 설치 진행 막대] (WSL 을 기존에 설치한 적이 있다면 다음과 같이..
2023.05.06 -
[리눅스] 데비안. 그놈. 블루투스. "feat. AR3012"
작성일 : 2022. 10. 30. 05:55 작년까지 잘 쓰던 블루투스가 언제부터인가 인식되지 않았다. 당연히 그놈 쪽 문제라고 생각했다. 아니면 데비안이 워낙 이런 쪽에 지원이 떨어진 게 원인일 것이라고 의심했다. 하필 데비안은... 하지만 버릴 수는 없고... 쯔쯔... 철 지난 데비안 블루투스 문서를 구글에서 찾아보았다. bluez 를 비롯한 블루투스 관련 패키지는 모두 깔려 있는데 도대체 왜 안되는 걸까!!? 아씨.. 데비안은 하필.!!!!! lspci, lsusb... 해마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었던 커널 컴파일... 이젠 손대기도 싫은데... 통짜 커널 쓰면 되지, 내가 임베디드 리눅스 공부하는 사람도 아니고...... 그 동안 잘 썼는데 패키지 업그레이드한 이후로 갑자기 왜 안되냐고!!? 역..
20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