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3)
-
[리눅스/윈도] WSL sshd 등록하기
작성일 : 2021. 8. 26. WSL 에 맛들인 사람 중에는 cmd.exe 터미널 보다 xshell 이나 token2shell 같이 탭 또는 다중 창을 띄워놓고 작업하는 것을 좋아하는 부류도 있을 것이다. 내가 그렇다는 소리인데..., 앞서 언급한 프로그램들은 SSH 클라이언트이다. 즉, 이것들을 사용하려면 WSL 에서 sshd (SSH 서비스 데몬) 이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 openssh-server, openssh-client 패키지를 설치하고 ssh-keygen 으로 생성한 공개키를 .ssh/known_hosts 에 추가해서 localhost 로 접속했을 때 무리없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생각만으로는 간단해 보이지만, WSL 에서 sshd 를 실행해놓아도 윈도에서 로그아웃하는 순간 해..
2023.05.06 -
[리눅스/윈도] token2shell 에서 WSL (localhost) 로 접속하기
작성일 : 2021. 7. 16. WSL 에서 기본 콘솔인 cmd.exe 는 화면이 수려하지 않다. 그래서 SSH 클라이언트로 접속해서 매끄러운 스크롤 방식과 배경을 넣는 등, 더 화려하게 쓰는 방법이 있다. 매 부팅 후 WSL 최초 실행 시에 ssh 서비스를 실행해야 하는 부담이 없는 것은 아니다. 청 네트워크에서 개발한 token2shell 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이미 ssh 서비스를 실행 중이라는 전제 하에 곧바로 `계정@localhost` 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최초 실행 시 CheckNetIsolation 이라는 명령을 쓰라고 한다. 친절하게도 token2shell 에서 알려주는 명령을 그래도 실행하면 된다. (CheckNetIsolation 은 윈도 쪽 시스템 유틸리티인 것 같다. ..
2023.05.06 -
[리눅스] SSH 접속 시 Locale 설정실패 메시지를 안뜨게 하는 방법
작성일 : 2017. 8. 1. 22:40 SSH 를 이용해서 원격지 서버로 접속할 때 다음과 유사하게 로케일 설정실패 메시지가 뜰 때가 있다. "-bash: warning: setlocale: LC_ALL: cannot change locale (ko_KR.UTF-8)" 이런 메시지가 뜨는 원인은 ssh 클라이언트의 기본설정이 로컬 작업환경의 로케일을 그대로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로컬 작업환경의 로케일 ↓] 해결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원격지 서버에서 해당 로케일을 지원하도록 로케일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로컬 작업환경의 ssh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다. 첫 번째는 서버를 고치는 방법이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어차피 서비스 운영 용도로 쓰는 원격지 머신은 C 또는 ..
20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