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윈도] token2shell 에서 WSL (localhost) 로 접속하기
2023. 5. 6. 19:07ㆍ리눅스 실제 사용 팁/WSL
작성일 : 2021. 7. 16.
WSL 에서 기본 콘솔인 cmd.exe 는 화면이 수려하지 않다.
그래서 SSH 클라이언트로 접속해서 매끄러운 스크롤 방식과 배경을 넣는 등, 더 화려하게 쓰는 방법이 있다.
매 부팅 후 WSL 최초 실행 시에 ssh 서비스를 실행해야 하는 부담이 없는 것은 아니다.
청 네트워크에서 개발한 token2shell 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이미 ssh 서비스를 실행 중이라는 전제 하에 곧바로 `계정@localhost` 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최초 실행 시 CheckNetIsolation 이라는 명령을 쓰라고 한다. 친절하게도 token2shell 에서 알려주는 명령을 그래도 실행하면 된다. (CheckNetIsolation 은 윈도 쪽 시스템 유틸리티인 것 같다. 참고 URL :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iot-core/develop-your-app/loopback)
참고로 윈도 쪽 시스템 유틸리티이므로 PowerShell (파워쉘) 이나 Cmd.exe 에서 실행해야 한다.
'리눅스 실제 사용 팁 > WS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윈도] WSL 에서 GUI 띄우기 : VcXsrv (0) | 2023.05.06 |
---|---|
[리눅스/윈도] WSL 에서 윈도용 프로그램 실행하기 (0) | 2023.05.06 |
[리눅스/윈도] WSL sshd 등록하기 (0) | 2023.05.06 |
[윈도우즈/리눅스] WSL 에서 native docker 실행하기 (0) | 2023.05.06 |
[리눅스/윈도] WSL 백업하기 (0) | 2023.04.06 |